Home » 도커 » docker run publish port 옵션으로 포트를 publish 시켜 봅시다.

docker run publish port 옵션으로 포트를 publish 시켜 봅시다.

port 옵션 없이 도커를 올렸다면, 내부에서만 curl이 되고 외부에서는 curl을 해 보았자 찾을 수 없다고 뜰 겁니다.

[그림 1] container와 host

저는 fastapi 서버를 8080번 포트로 실행하였습니다. 그리고 host인 제 로컬 머신에서 localhost:8080으로 접근하려고 시도했습니다. 하지만, 컨테이너 위의 8080번 포트에서 돌고 있는 것이지, host에서 돌고 있는 것이 아닙니다.

[그림 2] host에서 8080으로 접근이 실패

즉, docker run publish port 옵션을 사용하지 하지 않았기 때문에, host의 8080번에서 접근을 시도해도 되지 않습니다. host에서 돌고 있는 것도 아니고요. 그런데, curl localhost:8080/health 명령어를 컨테이너 내부에서 수행하면 이야기가 달라집니다.

[그림 3] 컨테이너 내부에서 8080으로 접근이 성공

이는, 컨테이너 내부에서 8080번 포트로 fastapi 서버가 돌아가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저는 /health router를 간단하게 만들어 두었기 때문에 응답이 성공합니다. 만약에, host에서 8080번 포트로 docker container 내에 있는 fastapi 서버에 접근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이 때 쓸 수 있는 것이 -p, publish 옵션입니다.


docker run publish port 옵션 사용해 보기

먼저, fastapi 프로젝트를 봅시다.

[그림 4] fastapi 프로젝트 build 시키기

vscode에서 Dockerfile 익스텐션을 설치하셨다면 쉽게 빌드할 수 있습니다. Dockerfile을 우클릭 하고 Build Image를 누릅니다. 그러면 이런 창이 뜰 겁니다. 여기서, Enter를 눌러서 build를 하겠습니다. 여담으로, –port 8080 옵션은 8080번 포트로 서버를 실행시킨다는 의미입니다.

[그림 5] -p 옵션 사용하기

-p 옵션을 사용하였는데요. 여기서 중요한 것은 8080:8080입니다. {host}:{container}인데요. 컨테이너의 8080번 포트가 host의 8080번 포트에 맵핑되게 됩니다. 아래 그림과 같은 상황이 되는 셈입니다.

[그림 6] host의 8080에 mapping된 container port

이제, host에서 localhost:8080으로 접속해 보겠습니다. fastapi의 경우 /docs로 접속하면 swagger-ui가 나옵니다. 그리고, /redoc으로 접속하면 문서 ui가 나옵니다.

[그림 7] localhost:8080/docs의 결과

docs로 접속하니까 swagger가 매우 잘 나왔음을 볼 수 있습니다. 정리하면 host의 8080번 포트를 통해서, docker container 내부의 8080번 포트로 접근이 가능했던 셈입니다.

[그림 8] netstat으로 네트워크 연결 정보 조회하기

netstat -ntlp 명령어를 치면, 네트워크 연결 정보를 조회할 수 있어요. :::8080이 있고요. 상태가 LISTEN입니다. 8080번 포트를 누군가 쓰고 있다는 의미입니다. 이제 Dockerfile을 조금 바꿔서 실행해 볼게요.


Dockerfile 바꿔서 실행해 보기

해당 파일의 8번째 줄만 바꿔서 실행해 보겠습니다.

[그림 9] 8번째 줄만 바뀐 Dockerfile

8번째 줄의 CMD만 조금 바뀌었는데요. –port가 8000번입니다. 이는, 컨테이너 내부에서 fastapi 서버가 8080번이 아니라 8000번 포트로 실행된다는 의미입니다. 이 경우, container의 8000번 포트를 host의 8080번 포트로 mapping을 시켜줘야 합니다. 따라서 -p 8080:8000 옵션을 적어줘야 합니다.

[그림 10] 컨테이너의 8000번 포트와 host의 8000번을 맵핑하기

위 명령어는 아래 그림과 같은 일을 수행합니다.

[그림 11] 그림 8의 명령어를 친 후의 상황

host의 8080번 포트를 통해서, 컨테이너 내부의 8000번 포트로 접근이 가능하게 된 셈입니다. 즉, host의 port를 통해서 container의 port로 접근하게 하기 위해 publish 옵션을 쓰는 것이라고 생각하면 되겠습니다.

Leave a Comment

7 −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