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레퍼런스 » PYTHON » python deque index 접근 연산의 복잡도를 알아봅시다.

python deque index 접근 연산의 복잡도를 알아봅시다.

python deque index 접근 연산은 생각보다 빠르게 수행되기 때문에, O(1) 근방인 것으로 착각하기 쉬워요. 어떻게 동작하는지 간단하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python deque index 접근

먼저, 이 프로그램을 보겠습니다.

[그림 1] 1번 예제 프로그램

deque의 []는 배열과 같이 index에 접근하기 위한 연산자입니다. 예를 들어, deque d에서 d[3]은 3번째 요소에 접근하는 것입니다. 배열과 사용법이 크게 다를 바가 없어요. 예제 프로그램 1번에서는 길이가 n인 덱을 생성한 다음에, 0번째 원소부터 n-1번째 원소까지 접근하는 총 시간을 측정하고 있어요.

[그림 2] n이 10만일 때 실행 결과

n이 10만일 때 실행 결과를 봅시다. 길이가 10만인 deque에 대해, 0번째 인덱스, 1번째 인덱스, … , 9999번째 인덱스에 접근하는 데 걸린 총 시간이 0.1초밖에 걸리지 않았어요. 상당히 빠른 것처럼 보입니다. 시간 복잡도의 경향성을 보려면, 조금 큰 데이터를 가지고 실험해 보아야 하는데요.

n이 50만일 때와 100만일 때 실험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림 3] n이 50만, 100만일 때 실행 결과

50만일 때 3.75초, 100만일 때 15.28초가 걸렸습니다. 2배 늘어날 때 4배가 증가하는 경향성을 보이고 있어요. 심지어, 데이터가 커져서 비효율적으로 동작한다는 것이 눈에 보이는 상황입니다. 결국, deque에서 index에 접근하는 연산은 덱의 크기가 n이라면 O(n)이라는 것입니다.

다른 실험을 해 보겠습니다.

[그림 4] 2번 예제 프로그램

2번 프로그램을 보겠습니다. lt에, 1부터 100까지 수 중에 random 하게 하나 뽑습니다. 몇 개를 뽑는가? deque 길이만큼 뽑습니다. 이걸 어디에 쓰는가? 뒤에서 x번째 원소를 뽑기 위해 씁니다. 이 x는 맨 뒤에서 가깝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어요.

[그림 5] n이 50만, 100만일 때 실행 결과

실행 결과를 볼까요? 아까와는 다르게, n이 50만일 때도, 100만일 때에도 꽤 효율적으로 동작함을 볼 수 있어요. 이는, 앞이나 끝과 매우 가까우면 O(1), 혹은 그에 준하는 효율로 동작함을 의미합니다. 여기까지 정리해 봅시다.

  • python deque의 index 연산은
    • 시작 지점에서 가까운 곳을 가져오는 것도 빠릅니다.
    • 끝 지점에서 가까운 곳을 가져오는 것도 빠릅니다.
    • 중간 지점이 비효율적인데, 상수가 많이 낮습니다.

deque는 어떤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가?

그러면, python의 deque는 어떤 구조로 이루어져 있을까요? 이 링크 를 보면 간단하게 알 수 있습니다. 이를 그림으로 설명해 보겠습니다.

deque는 block 들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각 block 들은 linked list로 연결되어 있는데요. 앞, 뒤로 이동 가능해야 하기 때문에 double linked list로 구현이 되어 있습니다.

이 block 안에는 data가 있는데요. data 안에 64개의 원소들을 저장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시작이나 끝에서 n만큼의 거리가 떨어져 있어도, O(n/64) 만큼 링크를 타고 이동한 다음에, 많아봤자 64회만큼 탐색을 더 하면 됩니다.

이 구조에서는, index에 접근하는 데 시간은 오래 걸립니다. 하지만, 왼쪽이나 오른쪽으로 확장하는 경우 head와 tail만 알고 있으면 상당히 빠르게 추가할 수 있습니다. 64 x 128 개의 원소가 요래 있다고 했을 때, 64번째 원소와 64 x 127 – 1번째 원소에 어떻게 접근하는지 로직을 그려 볼게요.


deque의 index의 동작 방식

아래와 같이 저장되어 있다고 해 볼게요. 당연하게도 원소가 추가되고 제거됨에 따라서, block에 있는 데이터 수는 바뀔 수 있어요. 특히 시작과 끝 block 에서는요. 여기에서는 단순하게 64개의 block이 모두 채워져 있다고 해 보겠습니다.

64번째 원소를 찾으려고 해요. 그러면, head 쪽이 더 가깝기 때문에, head에서부터 찾기 시작합니다. 그런데, head에는 0번째 원소부터 63번째 원소만 있어요. 건너 뛰겠지요?

고로, rightlink를 타고, right block으로 가요. 여기에는 64번째 원소부터 127번째 원소까지 있어요. 64번째 원소는 data의 몇 번째에 있어요?

0번째에 있어요. 가져오면 됩니다. 다음, 64 x 127 – 1번째 원소를 찾고 싶어요. 이건 또 어떻게 할까요? 총 64 x 128개의 원소가 있으므로, head가 아니라 tail에 더 가깝습니다.

고로 tail부터 찾을 텐데, 맨 마지막 block은 64×127번째 원소부터 64×128 – 1번째 원소까지를 저장하고 있어요. 이 범위에, 64×127 – 1이 없어요. 따라서, leftlink를 타고, left block으로 갑니다.

left block을 보니까, 64×126부터, 64×127 – 1번째 원소까지 data에 저장하고 있어요. 고로, data의 맨 끝 부분에서 가져오면 됩니다. 결국 block 단위로 뛰는 게 핵심인 셈입니다.

Leave a Comment

14 − 7 =